* 웹소켓이란?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효율적인 양방향 통신 또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

 - Real time web application : 서버 or 클라이언트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웹 어플리케이션

 

* 장점

 - 단순한 API

 - 하나의 HTTP 접속으로 메시지를 양방향 통신 (일정 시간이 지나면 HTTP연결은 자동으로 끊어짐)

 - XMLHttpRequest와 Server-Sent Events를 조합해서 양방향 통신을 구현하는 경우와 비교해 통신효율이 좋고, 설계나 구현도 간단

 

* 단점

 - 이전의 오래된 버전의 웹 브라우저에서는 지원하지 않음

 - 프로그램 구현에 보다 많은 복잡성 초래

 

XMLHttpRequest

 - 웹 브라우저 웹 서버 간에 메소드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객체 폼의 API

 

Server-Sent Events(SSE)

 - 클라이언트가 HTTP 연결을 통해 서버에서 자동 업데이트를 수신 할 수 있도록하는 서버 푸시 기술

 

 

참고 :

http://itnovice1.blogspot.com/2019/01/web-web-socket.html 

https://webclub.tistory.com/463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API 란? RESTful 이란?  (0) 2020.04.28
REST 란?  (0) 2020.04.23
포트포워딩 이란?  (0) 2020.04.17

내 외부 IP 확인하기

 

http://www.findip.kr/

'* 소소한 일상 >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PG(Payment Gateway), VAN(Value-Added Network)  (0) 2018.01.25
글자수 카운터  (0) 2017.01.19
스레드  (0) 2016.09.06

* 포트포워딩 이란?

-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 또는 포트 매핑(port mapping)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패킷 라우터 방화벽과 같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가로지르는 동안 하나의 IP 주소 포트 번호 결합의 통신 요청을 다른 곳으로 넘겨주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의 응용이다. 이 기법은 게이트웨이(외부망)의 반대쪽에 위치한 보호/내부망에 상주하는 호스트에 대한 서비스를 생성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며, 통신하는 목적지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내부 호스트에 다시 매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출처: 위키백과

다시말해 컴퓨터에게 "이쪽으로 가세요"라고 알려주는 방식입니다.

외부에서 가정에 있는 컴퓨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ip주소가 필요하지만, 집에 있는 모든 컴퓨터 마다 아이피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가정에서는 대부분 공유기로 인터넷을 사용합니다. 

이제 외부에서 내부의 컴퓨터에 접근하려 합니다. 내부에 여러대의 컴퓨터,노트북을 사용하는 경우 어떤 컴퓨터에 접근해야 하는지 공유기로는 모르기 때문에 포트로 해당 컴퓨터로 접근할수 있는 것이 포트 포워딩 입니다.

예를 들어 포트번호 2222로 들어왔으면 1번 컴퓨터로 연결되고, 포트번호 3390으로 들어왔으면 2번 컴퓨터로 연결합니다.

 

참고: https://steemit.com/kr/@d7795/5i6zc3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API 란? RESTful 이란?  (0) 2020.04.28
REST 란?  (0) 2020.04.23
웹소켓(WebSocket)이란?  (0) 2020.04.20

▶ lower_case_table_names 

- Unix의 경우 기본값 lower_case_table_names은 0.

- Windows의 경우 기본값은 1.

- macOS의 경우 기본값은 2.

 

의미
0 대소문자 구분
1 대소문자 구분하지 안함 (소문자로 저장)
2 대소문자 구분하지 안함 (소문자로 비교)

 

 

* 적용 확인
> show variables like 'lower_case_table_names';

'* DB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NT 문을 이용한 사용자 및 권한 관리  (0) 2020.04.13
LIKE 절  (0) 2019.12.16
Workbench 'show full'  (0) 2018.04.26
날짜,시간 SELECT  (0) 2018.04.25
테이블생성,컬럼추가/삭제 등  (0) 2018.04.25

* spring boot는 내장 톰캣을 사용하여 web-was서버를 구동 할 수 있기 때문에 배포가 매우 간단

* 배포 서버는 centos 8 

 

1. 이클립스 프로젝트의 pom.xml에 다음과 같이 packaging 유형을 war로 설정

epsav는 프로젝트 이름

 

2. 프로젝트 오른쪽마우스 클릭 > Run as > Maven build

Goals 에 입력 후 Run 실행

.....

쭉 내려오다가 빌드 성공

 

3. 빌드 성공하면 지정된 target 폴더에 war 파일 생성 확인

콘솔 중간쯤에 경로 확인가능

 

4. 해당파일을 배포 할 서버(CentOS)로 이동 or 복사

 

5. java 명령어로 복사한 war 파일 실행

$ java -jar [경로]

 

6. 웹 브라우저 확인

 

 

'* Programming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개념(Spring Framework)  (0) 2017.01.24

+ Recent posts